반응형

문서객체모델(Document Object Model, DOM)은 HTML과 XML 문서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문서에 대한 구조적 정보를 제공하고 문서 구조나 외양 및 내용을 프로그램에서 접근할수 있는 방법 제공

DOM 노드의 유형
1. Node.ELEMENT_NODE는 엘리먼트 노드 유형에 대한 상수
2. Node.ATTRIBUTE_NODE는 애트리뷰트 노드 유형에 대한 상수
3. Node.TEXT_NODE는 텍스트 노드 유형에 대한 상수
4. Node.DOCUMENT_NODE는 문서 노드 유형에 대한 상수

다른 노드 유형들도 많이 있지만 주로 이 네가지 유형을 다루기 때문에 예시 하지 않는다.

nodeType 속성
DOM 노드 유형에 대해 상수로 정의 되어 있으므로 모든 노드에서 사용할수 있는 nodeType 속성을
사용하여 위 상수와 비교 함으로서 노드 타입을 알수 있다.


Internet Explorer는 자바스크립트에서 Node 상수를 사용할때 에러를 보고 한다.
Internet Explorer 7.0부터 이러한 문제를 정정했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6.0에서는 정상작동 하지 않는다.
따라서 Node 사용을 피해야 할것이다. 그냥 이런 것이 있다고만 알아 두도록 하자.

반응형


이 책의 이름에 대해서는 대부분 들어 보았을 것이다. 내용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이 오긴 하지만 저렴하게 구매하였다.
더구나 한영합본이라기에 막연한 동기부여의 의미도 있고 해서 구매한 책이다.
예전에 카툰으로 아주 조금 본적이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같은 이름의 드라마도 있었던듯 하다.
어느 정도 이름이 있는 책이다 보니 선뜻 구매하고 말았다. 쌓여 있는 책중에서 과연 언제쯤 나의 손에 들려있을지.^^; 

//2011.04.13
책이 합본이라서 그런지 정작 한글판은 두깨가 그리 두껍지는 않아서 틈틈히 다 읽을 수 있었다.
기대했던 내용하고는 다른 내용이였다. 아마도 내가 착각을 하고 있었나 보다. ㅋㅋ
책 내용의 줄거리는 생각이 나지만 책에 나타난 은유적인 표현이라던가 상직적인 부분까지
감안하면서 읽을 정도는 되지 못하였다. 책 뒤편에 나온 추가 설명적인 해석 부분을 읽고 서야 아~~
하는 생각을 하는 정도였다. 책을 읽을 때 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책의 본질을 놓치는 듯한... 
한영합본이고 한글판을 읽었으니 틈틈히 영문판도 단어를 찾아가며 읽어 봐야겠다.
어짜피 줄거리는 알고 있으니 어찌어찌 단어만 찾아보면서 보면 볼만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반응형


일단 제목에서 나오는 포스가 장난이 아닌 책이다. 딱 어려운 책이다!! 라는 생각이 먼저 엄습한 책.
이런 류의 책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목차를 보고 왠지 사고 싶었던 책으로 충동구매한 책이다.
참다운 인간이 되보고자 하는 마음에 구매해 본 책이다. 자신의 마음을 다스릴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면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