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싱화는 에버라스트 껄로 샀었고 핸드랩 은 전에 쓰던걸 계속쓰고

백글러브는 체육관에 있는 공용을 썼는데 이번에 장만했다..

기타 다른 좋은 브랜드가 많이 있었지만 가미껄 선택했다. ㅎㅎ

백글러브도 샀고 좀 더 버닝해서 운동해야 ㅎㅎ 그 값어치를 하겠지..ㅋ

확실히 운동을 시작하니 몸에 변화가 느껴지긴 한다.. 항상 뻐근하고 멍자국도 좀 있고 ㅎㅎ
반응형
우분투에 버전관리 서버를 설치하도록 하자.

cvs 와 svn 중에서 고민하다 cvs는 계속 사용해 왔기에 svn을 설치하기로 했다.

설치와 사용 방법에는 여러가지 케이스가 있지만 svn+ssh 프로토콜을 사용하기로 한다.

1. 서브버전 설치  
# apt-get install subversion

2. 사용자 그룹 설정
# groupadd subversion

3. 그룹에 사용자 추가(guda,twelo 계정을 그룹에 추가했다.)
# vi /etc/group
subversion:x:1005:guda,twelo

4. 서브버전에서 사용할 저장소 생성
# mkdir /home/project

저장소를 버클리 디비 방식으로 만들건지 파일 방식으로 만들건지 선택하자.
난 그냥 버클리 디비 방식으로 생성하기로 했다. 그리고 그룹이 접근할수 있도록 권한 설정

# cd /home/project
# svnadmin create --fs-type bdb Gsource
# chgrp -R subversion Gsource
# chmod -R g+w Gsource

이게 끝이다.. 이제 서브버전에 접속 하면된다.
svn+ssh://guda@ip-address/home/project/Gsource  

부족한 부분이나 다른 상세한 방법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
http://wiki.kldp.org/wiki.php/Subversion-HOWTO


반응형

우분투 서버 부팅시에 실행시킬 스크립트를 등록 하는 두가지 방법
1, /etc/rc.Boot  에 실행권한을 준 스크립트를 생성
2. /etc/init.d 에 실행권한을 준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update-rc.d 로 등록

런레벨
 0  시스템정지
 1  단일 사용자 모드
 2~5  다중 사용자 모드
 6  시스템 재가동

기본 런레벨은 '2'를 기본으로 시작된다.

새로 등록 (ex. 99는 부팅 시 올라오는 순서, 90은 꺼질 때)
update-rc.d test_server defaults 99 90

이전에 등록됐던 데몬을 지운다.
update-rc.d -f  test_server remove

update-rc.d명령은 /etc/init.d/와 rcN.d 디렉토리의 파일 사이에 연결을 만들어 준다.
그 연결 파일의 명칭은 'S','K'로 시작되고 그 뒤로 두자리 숫자와 등록된 스크립트 파일명으로 구성.
각 rcN.d 는 N에 해당하는 런레벨으로 실행될때 'S'로 시작되는 스크립트들이 실행되고
'K'는 해당 런레벨 N을 빠져나올때 실행되게 된다. 'S','K' 뒤에 숫자는 실행 순서를 나타내게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