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ndows OS구조와 원리를 학습하는 또 다른 방법 - 프로그램의 실행 원리를 아는 것이 시스템(OS)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책이 다루는 정확한 영역은 우리가 보통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르는 EXE 파일과 EXE 실행시에 함께 로드되는 동적 라이브러리인 DLL의 구조와 포맷 분야이다. 각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예제 덤프를 통해 생생하게 그 구조를 파악하게끔 구성하고 있다. 디버깅 툴 제작이나 탐침 혹은 백신 프로그램, API 후킹 프로그램과 같은 고급 영역에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Win32 시스템 영역 즉 OS 영역을 이해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학습 영역이기도 하다. 윈도우즈 프로그래밍을 다소 깊게 하다 보면 자연스레 부족한 부분을 느낄 것이고 이 책이 그러한 부분을 상당 부분 해소시켜 줄 것이다. 주요 내용 > 모든 장에서 예제 덤프를 통한 생생한 구조 분석 > 실행 파일 분석을 통한 VMM(Virtual Memory Manager)과 실행파일의 관계 > DLL 익스포트와 임포트의 과정 및 포맷 분석을 통한 실행 파일 내에서의 DLL 정보 추출 그리고 개발자가 놓치고 있던 DLL 관련 사항 정리 > Windows 2000부터 지원되는 새로운 DLL 로딩 방식인 DLL 지연 로딩과 그 과정에 대한 철저한 분석 > 실행파일 내부에 존재하는 리소스와 리소스 타입별(아이콘, 메뉴 등등) 포맷 상세 분석 및 실행 파일에서 필요한 리소스를 뽑아낼 수 있는 방법 연구 > DLL 재배치의 의미와 그 과정 및 재배치 섹션 구조에 대한 상세 분석 |
전체 글
- Windows 시스템 실행파일의 구조와 원리 2008.06.09
- [파워빌더]DebugBreak 함수 2008.06.09
- SCJP 자격증 2008.06.09
Windows 시스템 실행파일의 구조와 원리
2008. 6. 9. 14:37
반응형
[파워빌더]DebugBreak 함수
2008. 6. 9. 10:25
반응형
DebugBreak PowerScript function
[설명]
실행을 보류하고 Debug 윈도우를 오픈한다.
[문법]
DebugBreak ( )
[Return 값]
없음
[용법]
응용프로그램 실행을 보류하고 테스트하려는 위치에 DebugBreak 함수를 삽입한다.
디버깅을 가능하게 하고 개발환경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PowerBuilder가 DebugBreak 함수를 만나면
Debug 윈도우가 오픈되고 현재 내용을 나타낸다.
[예제]
다음 문장은 변수의 NULL 값 여부를 테스트하고 NULL 값이면 Debug 윈도우를 오픈한다:
IF IsNull(auo_ext) THEN DebugBreak() [출처] [파워빌더]DebugBreak 함수|작성자 연쓰
SCJP 자격증
2008. 6. 9. 09:42
반응형
자바는 3가지 계열로 볼 수 있습니다.